지난 4월 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는 제21대 대선 정책제안 과제로 "시민주권과 생활민주주의 확장을 위한 정책제안서"를 함께 만들었습니다. 이전 대선 정책과제 제안 시에는 시민사회 각 영역의 입장에서 필요한 과제를 모아서 제안한 형태였다면, 이번 21대 대선에서는 공통의 핵심요구 과제를 수렴하여 우선적으로 필요한 핵심과제 중심으로 '시민사회 우리의 요구'로서 과제 정리를 한 것이 기존과 다른 접근 지점입니다. 최종적으로 시민사회 각 영역의 구분을 막론하고 "정의롭고 회복력 있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시민사회로의 전환"을 위하여 각 캠프에 제안할 정책과제를 4대 핵심과제 12대 세부과제로 모았습니다. 시민사회 활성화는 민주주의와 사회통합의 지속가능한 진화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과제입니다. 새로운 정부에서는 시민사회가 오랫동안 염원해왔던 과제들이 반영될 수 있기를 바라며, 주요 핵심과제를 카드뉴스 형태로 소개합니다.
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는 총 4대 과제를 제안하였습니다. 각 과제별 하위 세부과제는 카드뉴스를 참고바랍니다.
- 시민사회 영역 총괄제도 마련
- 시민사회 전담 합의제 행정기구 설치
- 시민사회 제도 규제 혁신
- 시민사회 활성화 기반 조성







갈 길이 멀지만 시민사회의 가치가 우리 사회에서 더욱 존중받고, 공익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안정적인 제도환경 기반 속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정부는 반드시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넘어서, 민주주의 회복을 갈망하는 시민들의 목소리에 더욱 기울여주기를 당부합니다.
그 차원에서 사단법인 시민과 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는 새 정부의 시민사회 활성화 정책 수립을 위한 전국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하여 <시민사회 정책 전환을 위한 설문조사>를 진행 중입니다. 설문조사에 많은 목소리가 담길 수 있도록 참여 바랍니다.
시민사회 정책 전환을 위한 설문조사 참여하기(5/26~6/8)
지난 4월 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는 제21대 대선 정책제안 과제로 "시민주권과 생활민주주의 확장을 위한 정책제안서"를 함께 만들었습니다. 이전 대선 정책과제 제안 시에는 시민사회 각 영역의 입장에서 필요한 과제를 모아서 제안한 형태였다면, 이번 21대 대선에서는 공통의 핵심요구 과제를 수렴하여 우선적으로 필요한 핵심과제 중심으로 '시민사회 우리의 요구'로서 과제 정리를 한 것이 기존과 다른 접근 지점입니다. 최종적으로 시민사회 각 영역의 구분을 막론하고 "정의롭고 회복력 있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시민사회로의 전환"을 위하여 각 캠프에 제안할 정책과제를 4대 핵심과제 12대 세부과제로 모았습니다. 시민사회 활성화는 민주주의와 사회통합의 지속가능한 진화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과제입니다. 새로운 정부에서는 시민사회가 오랫동안 염원해왔던 과제들이 반영될 수 있기를 바라며, 주요 핵심과제를 카드뉴스 형태로 소개합니다.
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는 총 4대 과제를 제안하였습니다. 각 과제별 하위 세부과제는 카드뉴스를 참고바랍니다.
갈 길이 멀지만 시민사회의 가치가 우리 사회에서 더욱 존중받고, 공익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안정적인 제도환경 기반 속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정부는 반드시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넘어서, 민주주의 회복을 갈망하는 시민들의 목소리에 더욱 기울여주기를 당부합니다.
그 차원에서 사단법인 시민과 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는 새 정부의 시민사회 활성화 정책 수립을 위한 전국의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하여 <시민사회 정책 전환을 위한 설문조사>를 진행 중입니다. 설문조사에 많은 목소리가 담길 수 있도록 참여 바랍니다.
시민사회 정책 전환을 위한 설문조사 참여하기(5/26~6/8)